::: 源��숇룞�쒖쓽�� :::
한의원소개
원장인사
진료과목안내
찾아오시는길
온라인상담실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한방칼럼
 
 
작성일 : 18-11-08 18:24
정전기, 넌 왜 자꾸 따갑게 날 괴롭히니?
 글쓴이 : 가운 김학동 (175.♡.14.153)
조회 : 4,065  
정전기, 넌 왜 자꾸 따갑게 날 괴롭히니?

건조해지는 가을 겨울, 출근하려 차문을 여는 순간 손에서 따끔하는 정전기가 발생하면 순간 머리가 쭈뼛서는 놀람에 잠시 당황스러울 때가 많다. 가볍게 느끼는 사람은 이 정도이지만 심하게 느끼는 사람의 경우 온몸의 피부가 따끔거려 한참 동안을 벅벅 긁어대야 하는 사람도 있으니 겪는 사람에게는 나름 괴로운 증상이다. 이 정전기는 이상하게 여름에는 괜찮다가 가을 겨울이 되면 잘 발생하는데 그 이유를 뭘까?

정전기(靜電氣)는 한자의 뜻처럼 정지되어 있는 전기를 지칭한다. 마찰전기도 정전기에 해당되는데 머리를 빗다가 빗에 머리카락이 딸려 올라가는 것도 이에 해당한다. 차문을 열때 일어나는 정전기는 때론 수만볼트에 이르기도 하지만 전기가 흐르는 시간이 극히 짧고 전도 범위가 매우 좁아서 인체에는 화상이나 기관손상 등의 해를 입히지는 않는다. 물론 전기 석유 가스 시설 등으로 전기가 튀는 경우 화재로 이어져 큰 불로 번진 경우는 종종 보고되어 있으니 조심은 해야 한다.

정전기는 왜 여름에는 발생확률이 낮고, 가을겨울에 심해지는 것일까?
첫째, 우리나라의 기후와 연관성이 있다. 여름에는 습도가 높지만 가을 겨울이 되면 건조해져서 정전기 발생확률이 높아진다. 마찰전기류는 습도가 높은 경우 전기가 흐르면서 방전 소실 되어버리지만 건조한 날씨에는 방전되지 않고 머물러 있다가 금속 등을 촉지하는 경우 전기가 흐르면서 불꽃이 튀게 된다.둘째, 피부의 건조함이다. 이것은 외부 기후의 건조함보다 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여름 무더위에는 그 환경에 적응해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인체 체온도 따라서 상승하기 때문에 땀을 분비시켜 체온을 낮춰 정상화하려는 작용이 일어난다. 이 땀 때문에 피부가 촉촉해져 정전기 발생이 줄어든다. 하지만 가을겨울이 되면 체온도 떨어지고 혈액이 피부쪽까지 자양하러 나오는 혈류양도 부족해지기 때문에 자연히 땀샘의 땀분비량이 매우 줄어버린다. 이런 환경에서는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니 외부 기후의 건조함과 함께 정전기 발생 능력을 증폭시킨다.

그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금속접촉시 손바닥 전체를 이용하여 접촉 면적을 늘린다던가 옷에 클립을 끼워 둔다던가 섬유유연제를 이용하는 등의 인터넷 출처의 방법들도 괜찮은 효과가 있겠지만 한의학적인 방법도 한번 제안해보려한다. 정전기의 원인이 몸의 외부든 내부든 건조함이 원인이라고 하였으니 습도를 올려주는 방법을 쓰면 된다. 실내같은 경우는 가습기나 젖은 수건을 이용하여 습도를 높일 수 있지만 집바깥으로 나오게 되면 습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그래서 내 몸의 피부에서 습도가 올라 갈 수 있는 방법을 쓰게 되는데 위에서 언급했듯이 제일 좋은 방법은 땀을 내는 것이다. 그래서 적절한 운동은 정전기 방지에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몸이 마른 사람들 중에는 운동을 해도 땀이 잘 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사람들은 체질 자체가 건조한 사람이 많다. 즉 몸에서 수분이 부족하게 되면 인체가 생리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수분유출을 최대한 줄여 보존하는 방법을 쓰게 되는데 이때는 운동을 해도 땀이 잘 안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체질은 주기적으로 일정양 이상의 물을 섭취하고 과일류 채소류 해조류 견과류 등의 음식들을 자주 섭취하여 체내 수분보존율을 높여야 한다. 그럼에도 증상이 잦다면 전문적인 한의사의 도움을 받아 체질개선하는 한약을 복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대한연부조직한의학회 교육위원
한의학 박사 김학동

 
   
 

愿�由ъ옄濡쒓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