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源��숇룞�쒖쓽�� :::
한의원소개
원장인사
진료과목안내
찾아오시는길
온라인상담실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한방칼럼
 
 
작성일 : 20-11-02 17:24
찹쌀(나미)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글쓴이 : 가운 김학동 (222.♡.117.60)
조회 : 4,318  
매일 먹는 주식인 밥도 언제적부터 건강을 위해 백미보다는 잡곡을 많이 섞어 먹는 추세입니다. 콩, 보리, 백미, 현미, 찹쌀 등 다양하게 혼합하여 먹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에는 찹쌀에 대해 얘기를 해볼까 합니다.

일전에 몸이 자꾸 부어 문제가 되어 내원한 환자분이 있었는데 식사를 하고 나면 소화가 안된다고 호소를 하여 이것 저것 원인을 파악해 봤는데 다른 원인은 찾질 못하겠고 먹는 음식 부분을 쭉 다 점검을 해보았더니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이 찹쌀인 듯 했습니다.

그래서 일단 찹쌀은 빼고 백미 현미와 콩, 보리 위주로 섞어 드시도록 하고 난 후 소화도 잘 되면서 더 이상 붓지 않는 경우를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

한약의 약성가에는 나미감평 구능생열 역능보익 곽란병철(糯米甘平 久能生熱 亦能補益 霍亂幷轍)이라 하여, 찹쌀은 성미가 달고 평하니 오래 복용하면 능히 열을 생기게 하며 역시 보익할 수 있으며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없앨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찹쌀은 끈적끈적한 윤기가 많이 있어 장복을 하면 기혈의 운행을 방해하여 몸에 습기와 열이 증가하게끔 합니다. 그래서 체질이 물기가 많거나 열이 많은 사람이 장복하게 되면 몸이 붓거나 점점 열이 많아지거나 기혈의 운행통로가 좁아지는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답답하다거나 부종이 생기거나 관절이 붓거나 소화가 안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밥을 먹으면 금방 배가 고파지는 소모성 체질이거나 몸이 건조하거나 체액이 마른 사람들에게는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위에 찹쌀이 곽란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은 증상이 처음 생겼을 때를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좀 지나면서 체액의 손실이 일어났을 때 설사와 구토를 줄여주면서 체내의 진액을 보충해 줄 수 있다는 말입니다.

참고하셔서 건강하게 식사하세요^^.

 
   
 

愿�由ъ옄濡쒓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