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장근(Longus Colli Muscle)을 이용한 경추통 치험례
포항 김학동 한의원
1. 환자개요
남, 56세, 체비+1
2. 진료일
2019-07-22
3. 주소증
우측 견중수(肩中兪) 부근 통증.
4. 현증
2주 전부터 환자 표현으로 오른쪽 목, 어깨가 아프기 시작, 해부학적으로 우측 견중수(肩中兪)부 통증. 스트레칭하면 통증이 덜 하지만 그래도 심한 경우에는 위쪽으로 뒷골까지 당김. Pinch & Roll Test 음성. 김지홍 정형외과에서는 경추 5,6 번이 닳았다고 함.
5. 진단
초진시에는 승모근 견갑거근 쪽의 근육통으로 진단 치료하였으나, 증상 여전하여 경장근(Longus Colli Muscle)의 근육통으로 진단함.
6. 처방 및 경과
1) 2019-07-22
치료: 습식부항(兩완골 兩승모근부착부 兩C367 항인대 견정 천료) 兩SCM 합곡-치료후 통증 덜함.
2) 2019-07-23
경과: 치료후 통증이 덜하다가 금일 아침되니 비슷해짐.
치료: 상동-치료후 통증 덜함.
3) 2019-07-24
경과: 아침되니 다시 재통. 색소폰 불고 있음.
치료: AT(상동 加 양보양곡사)
4) 2019-07-26
경과: 아침에 일어나면 뒷골이 좀 땡기면서 화끈거리는 느낌. 통증 비슷.
치료: AT(상동 加 양보양곡사 상양보)
5) 2019-07-29
경과: 경추 후굴 시 대추혈부 우측 주위가 뻐근함. 통증은 비슷함.
치료: AT(兩완골 兩승모근부착부 兩C367 항인대 견정 천료)-통증이 비슷-AT(경장근)-경추 후굴 동작시 통증 덜함–AT(합곡 양보양곡사 상양보)
6) 2019-07-31
경과: 많이 덜함.
치료: AT(兩완골 兩승모근부착부 兩C367 항인대 견정 천료, 경장근, 두장근, 합곡-양보양곡사 상양보)
7) 2019-08-05
경과: 많이 덜함. 동작상 불편함 없음.
치료: AT(兩완골 兩승모근부착부 兩C367 항인대 견정 천료, 경장근, 합곡-양보양곡사 상양보)
8) 2019-09-02
경과: 금일 목부위 낙침증상으로 재내원하여 물어보니 그동안 통증없이 잘 지냈다고 함.
7. 고찰
인체 동작은 주동근의 구심성 수축과 길항근의 원심성 수축의 힘조화로 만들어진다. 원심성 수축은 근육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힘을 내는 이완성 수축이고, 구심성 수축은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힘을 내는 긴장성 수축이다.
경추의 굴곡은 경장근, 두장근, 전두직근, 흉쇄유돌근, 사각근 등에 의해 주동적으로 움직이며, 신전은 후두하근, 경최장근, 경장늑근, 판상근, 반극근 등이 주동근이 된다.
만약 근육의 문제로 인한 경추의 후굴 동작에서 통증이 발생할 경우, 1) 후굴의 주동근에서 긴장성 수축에 병변이 있는 경우와 2) 후굴의 길항근인 목의 앞쪽 근육들의 이완성 수축에 병변이 있는 경우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상기의 환자는 경추 동작시 우측 견중수(肩中兪)부근에 통증이 있다고 호소하던 분으로 진료일수가 경과하면서 경추 후굴시에만 통증이 나타나고 다른 동작에서는 증상이 없었다. 경추 후굴의 주동근을 위주로 지속적인 치료를 하였으나 효과가 없었으며, 천부에 위치한 후굴의 길항근육인 흉쇄유돌근도 같이 치료하였으나 호전이 없었다. 치료방법을 고민하다가 마침내 후굴의 길항근육중 심부(深部)근육인 경장근(Longus Colli Muscle)의 치료로 환자는 급격히 호전되었다. 근육의 동작과 통증에 대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해주는 좋은 임상례라 생각되어 치험례로 보고하는 바이다.